온라인 마케터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CPA광고

2018. 05. 23

정보

 


온라인 광고를 진행하거나 대행사와 일할 때 업계 관계자가 아니라면 알기 어려운 낯선 광고용어들이 등장합니다. 낯설더라도 하나둘 광고 용어에 대한 지식을 쌓다보면, 온라인 광고를 진행하기 수월하실 거예요. 오늘은 마케팅 담당자들이 자주 이용하는 광고 상품 ‘CPA’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알아두면 유용한 검색광고 기초용어

 

CPA광고란

 

광고비는 지불 방식에 따라 CPC, CPA, CPI, CPS 등으로 나뉘는데요. 이 중 CPA(Cost Per Aaction) 광고는 광고주가 원하는 액션이 발생했을 때 광고비를 지출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CPA광고는 클릭만 하면 광고비가 지출되는 CPC(Cost Per Click)를 보완해 생겨났습니다. 실제로 상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는 이용자의 행동이 일어났을 때만 광고비를 주자는 것이죠.

 

 

CPA광고 단가를 측정하는 기준은

 

그렇다면 광고주가 원하는 이용자의 행동이란 무엇일까요? 어떤 업종이냐에 따라 광고주가 바라는 것도 달라집니다. 광고를 본 이용자가 회원가입을 하거나, 앱을 설치하는 등 광고주가 원하는 행동은 다양합니다.

 

CPA광고를 진행하는 업종을 살펴보면 게임, 자동차, 교육, 보험, 대출, 병원 등 다양한데요. 한가지 예로 살펴보면 새로운 게임을 출시한 게임업체 광고주는 자사가 출시한 모바일 어플을 이용자가 다운받는 것이 목표일 수 있습니다. 이때는 이용자의 앱 설치 횟수가 CPA 단가를 측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자동차나 교육 분야는 견적서를 받거나 상담 문의를 남기는 행동이 CPA 단가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데요. 보통 상담 문의를 받으려면 개인정보를 남겨야 하기 때문에 CPA광고가 고객의 DB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광고인 듯 아닌 듯 자연스럽게

 

CPA광고를 진행하는 전문업체는 이용자의 다운로드나, 회원가입, 상담신청 등의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SNS에서 유명세를 탄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꼭 인플루언서가 아니더라도 일반인들을 활용한 자연스런 광고를 통해 고객들을 유혹합니다.

[이미지 만들기]

 

CPA광고 전문업체들은 아이에 광고주의 콘텐츠를 널리 알릴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놓고, SNS 계정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광고주가 원하는 글을 홍보하고, 누군가 상담 신청을 남기거나 회원가입을 했을 때 일부 광고 수익금을 주고 있습니다.

 

 

CPA 평균 단가, 얼마나 하나

 

CPA광고를 통한 고객 DB 획득 단가는 진행하는 아이템의 가격과 퀄리티에 따라 결정되며, 평균적인 운영단가는 어느정도 형성이 되어있습니다.

 

 

 

 

업체마다, 업종별로 CPA광고 단가가 다 다르기 때문에, CPA광고를 진행할 의사가 있는 분들은 2~3군데 업체와 견적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해당업체가 같은 업종의 CPA광고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지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CPA광고 전문업체는 자사가 가진 플랫폼과 다수의 마케터들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고객 DB를 빨리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인인 이들이 광고주의 콘텐츠를 홍보하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양질의 콘텐츠가 퍼지는 효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양의 고객 DB를 확보하기 위해 무분별한 광고가 이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고객 DB확보가 실제 구매전환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죠. 따라서 CPA광고를 진행할 때는 어떤 매체에 어떤 내용으로 광고가 진행되는지 지속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줄줄 새어나가는 고객 DB를 막으려면 탄탄한 상품성으로 고객들에게 인정받아야 할 것입니다.

 

 

 

인기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