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 기획, 대체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2020. 07. 05

정보

오늘날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은 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모바일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인 앱애니(App Annie)의 '2020년 모바일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앱 다운로드는 20억 건에 달하며, 지출은 50억 달러로 등 2016년 대비 100% 성장세를 보였다고 한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이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현시대에서 앱의 '기획'은 앱을 만드는 사람이라면 아주 큰 고민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제대로 된 플랜 없이 진행한다면 그야말로 끔찍한 결과물이 나오고야 말 것이다.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들을 아라보자.

 

 

1. 간단하게 아이디어 검증하기

 

앱 기획을 하고자 결심을 했다면, 보통 몇 가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대게 문제(Problem)를 통해 도출된 해결점(Solution)일 확률이 높다. 이때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도출하고 이 원인을 토대로 해결점을 발견해내는 것은 정말 어렵다. 이 과정을 쉽게 도와주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5whys 방법론이다.

 

5whys 방법론은 특정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원인과 결과 관계를 알아보는 데 사용하는 '반복질문기술' 이다. 주로 많은 문제는 5번의 반복 질문 기술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고 한다.

 

5why방법론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자.

이 방법론을 사용하게 되었을 때 가장 큰 장점은 문제에 대한 일차원적인 해결방법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원인에 접근하기 쉬우며 그에 따른 해결 방법 도출도 쉽다.

 

5why를 진행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점 5가지가 있다.

 

  1. 혼자가 아닌 다양한 팀 단위로 구성한다.
  2. 5why를 시작하는 문제 정의는 명확하고 간결해야 한다.
  3. Why에 대한 질문과 답변이 5회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4. 답변은 정확한 사실과 데이터를 근거로 해야 한다.
  5. 질문의 답변은 고객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근본적인 원인을 발견하고, 해결점을 찾았다면 다음으로 넘어가보자.

 

 

2. 비즈니스 구조 검증하기

 

좋은 아이디어가 있다 해서 그 아이디어에 대한 구체화를 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과정이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부터 무엇을 기준으로 구체화 해야하는 지 까지 정말 다양한 고민이 있을 것이다. 가끔은 좋은 아이디어를 내는 시간보다 이것을 계획하고 정리하는 구체화 과정이 더 오래 걸릴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줄여줄 방법론이 바로 린 캔버스이다.

 

'린 캔버스'는 보통 린 스타트업 구조에서 비지니스 모델을 브레인 스토밍하기 위한 도구로 많이 활용되는 방법론이다. 하지만 이 '린 캔버스'는 린 스타트업과 별개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데에 활용도가 높다. 특히, 린 캔버스 가이드에 따라 빈칸을 채워 가면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한 눈에 볼 수 있다.

 

 

위 템플린은 린 캔버스의 템플릿이다. 린 캔버스는 총 9가지의 항목으로 정리되어있다. 린캔버스에 대해 알아보면, 문제 → 고객군 → 고유의 가치제안 → 솔루션 → 채널 → 수익원 → 비용구조 → 현실지표 → 경쟁우위 의 순서로 진행하기를 권장한다. 보통은 이 템플릿 위에 포스트잇을 붙이거나, 화이트보드에 적어가며 작성한다. 한번에 완성하는 것이 아닌 여러 경우의 수를 따져가며 작성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생길 수 있는 문제점들을 미리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출처 : <창업의 과학>, 다도코로 마사유키 지음

 

위의 이미지는 책 <<창업의 과학>> 필자가 정리한 데이팅 서비스 틴더(Tinder)의 린 캔버스이다. 이렇게 본인의 아이디어를 린 캔버스를 활용하여 작성해보면 비지니스 모델뿐 만 아니라 아이디어의 구체화까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하여 사업계획서 작성까지 도움을 줄 수 있다.

 

 

3. 문제에 대한 가설 검증하기 : 페르소나

 

비지니스 구조와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며 가설을 구축했다면, 이 가설을 검증할 단계이다. 위에서 꼽았던 고객군(Customer Segment)의 입장에서 정말 문제(Problem)가 맞는지 알아본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페르소나(Persona) 설정이다.

 

페르소나란 가상의 인물로 보통 서비스, 제품,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즉 고객군의 유형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페르소나 제작을 통해 우리는 더 쉽게 고객의 요구사항이나 경험, 목표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아래의 사례는 개인맞춤형 음악 서비스를 아이디어의 페르소나 사례이다.

 

https://www.interaction-design.org/literature/topics/personas의 페르소나를 참고하여
번역 및 제작하였습니다.

 

 

페르소나를 설정할 때 빠지면 안되는 것은 페르소나를 바로 연상할 수 있는 적절한 인물 사진과 그 사람의 관심사, 교육, 라이프스타일, 원하는 것, 한계, 목표가 있다. 이 외의 것은 서비스에 맞춰 변형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하나의 사례를 더 들어보자.

 

아래 사례는 책 추천 서비스에 대한 페르소나이다. 책 추천 서비스이기 때문에 좋아하는 책들에 관한 정보가 추가 되었다.

 

 

https://dribbble.com/shots/3052941-UX-Persona-for-Book-App

 

 

페르소나 설정은 가설 검증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팀 내부적으로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음악 서비스에서 음악을 즐겨듣는 사람이 고객이라고 팀 내에서 결정을 하더라도, 각 팀원 마다 서로 다른 고객군에 대해 상상 하고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나아갈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페르소나를 공유하게 되면, 동일한 고객군에 대한 기준이 생기기 때문에 추후 앱과 서비스를 만드는데 실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이렇게 체계적인 디자이너 찾으세요?
캐스팅엔에서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링크)

 

 

 

 

인기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