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이트나 홈페이지에 띠 모양으로 만들어 노출하는 광고입니다. 현수막처럼 생겨 배너란 명칭으로 불리며, 홈페이지 한쪽에 정해진 규격에 동영상, 이미지 파일 등을 활용해 광고합니다. 광고효과는 일정 기간 동안 배너가 사용자들에게 보여진 횟수나 클릭수 사이트 방문자 등으로 결정됩니다.
배너 광고 예시 '캐스팅엔'
(절차는 꼭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① 제안서 작성 및 검토
광고 목적에 맞는 제안서를 작성한 후 집행 내용에 대해 대행사/실행사와 협의합니다.
② 계약
정식으로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광고 게재 신청서를 작성하여 세금 계산서를 발행하는 약식으로 계약을 진행합니다.
③ 소재 및 랜딩페이지 제작
마케팅 담당자에게 광고 소재와 랜딩페이지 주소(URL)를 전달합니다. 광고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꼭 설치해야 합니다.
④ 진행
광고소재 검수 후 광고가 진행됩니다. 정상적으로 광고가 노출되는지 확인합니다.
⑤ 리포트 분석
마케팅 담당자에게 클릭, 유입을 분석한 일별 리포트를 요청하여 광고효과를 확인합니다.
1) 적합한 배너광고 매체인지 확인하기
배너광고를 진행할 때는 타겟에 맞는 최적화된 배너광고를 실행할 수 있는 매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 배너광고를 노출할 위치에 경쟁사의 광고가 노출되고 있지 않는지, 진행되고 있는 광고가 많지 않은지 사전에 확인합니다.
2) 배너광고 유형 파악하기
배너광고는 타겟 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노출하거나 특정 타겟을 설정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특정 타겟을 설정하여 광고를 진행할 때 광고주의 사이트에 방문했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송출하는 리타겟팅 광고가 있습니다. 높은 구매 확률로 이어지기 때문에 많이 활용하는 광고방식입니다.
배너 광고 매체
구글 GDN(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구글의 애드워즈를 통해 광고가 게재될수 있는 웹페이지 광고를 말합니다. 광고할 수 있는 페이지는 구글과 파트너십 계약이 돼 있는 곳 모두 포함되며, 타겟팅 기능에 따라 광고주가 관련성 있는 곳에 광고를 할 수 있습니다.
크리테오: 개인이 방문한 웹사이트의 정보를 토대로 관련성 높은 광고를 선별해 노출하는 광고 매체입니다. 광고주 사이트에 접속한 즉시 리타겟팅 대상이 되며, 제휴를 맺은 웹사이트에 광고가 노출됩니다.
타겟팅게이츠 : 타겟팅게이츠는 광고주 사이트에 방문했던 고객이 제휴 매체 방문시에 고객이 봤던 상품을 노출하는 광고입니다. 광고 시작/종료일, 노출 시간대 설정이 가능하며 효율에 따른 광고일자 조정 및 시간대별 ON/OFF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PC는 IP를 기반으로, 모바일은 Wi-Fi 기반으로 지역 타겟팅(시/구/동/읍/면) 단위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Pro Tip. 데일리 리포트로 광고 현황 확인하기
광고 진행 시 광고대행사 혹은 매체사로부터 일별 리포트를 받도록 합니다. 리포트에서의 배너광고 클릭수와 사이트 유입수를 비교했을 때 20% 이상 차이가 난다면 광고 소재 혹은 랜딩페이지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 CPP광고의 경우 고정 노출형과 랜덤 노출형이 있습니다. 랜덤 노출형은 특정 위치에 다수의 광고가 번갈아 노출이 됩니다. 랜덤 노출형인 경우 몇 개의 광고가 노출이 되는지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2. CPM광고의 경우 매체사의 페이지가 자동으로 새로 고침 되어 페이지 뷰를 늘리는 부정행위가 발생할 수 있으니, 부정클릭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CPC광고의 경우 매체사 혹은 경쟁사에서 고의 클릭으로 광고비를 소진하는 부정행위가 발생할 수 있으니, 부정클릭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배너 소재에서 2개 이상의 감탄 부호(!) 사용, 브라우저 사용자의 관심을 불필요하게 끌거나 사용자를 속일 수 있는 형태의 소재는 비승인될 수 있습니다. 배너 내 전화번호가 들어가면 다음(카카오)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5. 광고 효과를 측정할 때 차질을 막기 위해서는 각 배너로 연결되는 개별링크를 확실히 구분해 정리해야 합니다.